보조 기억 장치
RAID (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)
처리속도, 데이터 보호를 목적으로 여러 DISK를 중복성을 가진 하나의 논리적인 Disk(Array)로 변환하는 저장 장치
NAS, DAS에서 사용되는 기술이다
RAID 0
데이터의 중복 없이 여러개의 디스크에 분할해서 저장
데이터 분산으로 속도를 올리기 위해 사용
RAID 1
데이터를 똑같이 유지(중복)해서 디스크에 저장한다
안전성을 위해 사용
RAID 2
자료를 bit 별로 분산해서 저장한다
1bit가 깨지더라도 나머지 bit들이 살아있게 된다
ECC(오류정정디스크) 사용 (다른 디스크)
RAID 3
RAID 2와 동일하나 byte단위로 저장
Parity 데이터를 저장한다 (같은 디스크에)
RAID 4
RAID 3과 동일하나 block단위로 저장
RAID 5
데이터와 Parity를 별도의 디스크에 저장한다
RAID 4의 병목현상을 해결
RAID 6
하나의 Parity를 두 개의 디스크에 나누어 저장
보조기억장치
NW Storage
DAS ( Direct Attached Storage )
- 서버에서 스토리지에 직접 연결
- 속도가 빠르다
-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연결되고 서버 기능이 없다
- ex) 학원 -> 우리집 IP (DAS)
NAS ( Network Attached Storage )
- LAN/WAN 등을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
- 간접적으로 접근하지만 파일 공유 등의 서버 기능이 있다
ex) 학원 -> 우리집 IP -> LAN -> NAS
입출력 장치
보조기억장치에서 Device에 데이터가 들어온다
Device는 DR( Data Register )에 데이터를 보내고, 상태신호는 CU( Control Unit )에 보낸다
CU는 S/C R( State/Cotnrol Register )에 상태를 보낸다
데이터는 메인 메모리에, 상태는 CPU에 간다
인터페이스
하드웨어에서의 인터페이스
서로 다른 물체를 연결시켜주는 장치 및 기술
(입출력 장치와 내부 시스템을 연결)
'> 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운영체제] 스케줄링, 프로세스 동기화 (0) | 2023.09.13 |
---|---|
[운영체제] 운영체제란, 프로세스와 스레드 (0) | 2023.08.29 |
[컴퓨터 구조] 캐시 메모리, 주기억장치 (0) | 2023.08.08 |
[컴퓨터 구조] 기억 장치 (0) | 2023.07.20 |
[컴퓨터 구조] 병렬 처리, 메모리 공유방식 (0) | 2023.07.12 |